본문
- Memories of time, soon to be shattered -
Joo, Sung-yeol (Art philosophy / adjunct professor of Sejong University)
Prologue: In the secret garden
“I live on what others don’t know about me.” – Peter Handke
Whenever I confront works of Yoosung Kim I could feel a scent of red rose. I could also sense a soft, comforting scent of fruits that were kept and grown in the secret garden. When I walk in front of the pictures while thinking that I could smell a lively fragrance that could make me feel better, the scent vanishes away quickly. Behind the warmth of the red light exists a time of sadness or an oppressed emotion of the artist that changes the greyness into a rosy color. It also feels as if a droplet of blood that failed to coagulate and lost its life squeezed itself out from the wound and dyed the space with a red color. Loneliness or a sense of void can also be found from objects like an owl, a cage, and scattered mirror. The artist does not let the audiences inhale and indulge the fragrance and leads them into a frightening and anxious world that is expressed by the picture itself. When audiences get drunk with the picture’s scent and open their eyes later, the uncanny picture that stands in front of them finally reveal an exit that is either too deep or too far away.
Even though the ideas of Kim later became pictures, I think that what made these pictures was a vague sense of longingness. Although the audiences may want to keep the atmosphere of the picture itself rather than thinking deeply about its meanings, the story which might have been secretly kept by the artist, despite the discomforting feelings that come after, makes the audiences concentrate the picture even more. It is as if the picture itself is telling that the memories of the past, of which the body couldn’t handle, penetrates through the reality. The vague fear of the upcoming future makes the subject remember the past, and the memories are catalyzed so that the dark space turns into a red light that signifies a place of cleansing. If the dark past is represented by greyness or cold blue light, the future may be a rosy color.
1. The room of silence
“…and I close my eyes. I am looking into an unborn and shapeless world that longs to be called to life and order, I am looking into a throng of phantoms of human forms which beckon me to conjure them and set them free…” – Thomas Mann
The artist, who tells that her pictures are the psychological properties that can be represented through space, utilizes her private bed as a method of ventilating the world of unconsciousness. The bedroom of the artist, who thinks that resting is sleeping, becomes a place that suddenly restores incidents. Void and sequestered spaces are also expanded as special spaces that might have been recognized yesterday, letting the subject wipe out the memories or escape from them.
The reality is a prison of dreams, and a dream is a tool that provides liberation and a place in which freedom dwells in. However, without the meaning of life, dream loses its meaning of liberation. The composition of irrational picture indicates that the reality, of which the subject feels while sitting on the bed right after waking up, and the dream have been born from confrontation and conflict without reconciliation. The chaotic and irregular images that represent dream and reality also present ways of finding new methods and compositions, such as ways of taking a look at a person who is awake. If a dream is an expression of this world, paintings and pictures are languages of dreams that allow artists to think and imagine freely. Personal and private properties of dream that deals with a pure and clean space allows a complete new places that reach out to the far side to be opened. It is an exit that exists only in oneself and liberates the subject from an ample and free space into a void temporal space.
2. The shattered time
“In fact, all works of art need to not only reflect life and objects as they are but also accompany the curtain of objective and subjective views, so the works tend to show life and objects to us in a way that we can figure them out directly. Art rips out this curtain of time.” - Schopenhauer
Even though it is a room, it shows various kinds of objects scattered around within a dizzy space which has endless darkness. Yoosung Kim’s pictures are filled with Menippean satire, which is a technique of the early medieval era that includes segmental images that were brought up from the past, created by memorial objects, and form the pictures by moving freely. This is the artist’s formative language that speaks and engraves the world’s specific pain and lost words which can’t be described by themselves. Also, remembering the memories of the long gone past is a way of witnessing an alternative reality that unfolds the objects that were unrecognizable in reality rather than simply missing and longing for fantasy. In other words, the depaysement space that depicts time that does not exist is also a means and a method that are used to remember and recognize the lives that were once lost.
Memories are poorly made and can be easily distorted. In essence, the process of remembering is a reconstruction of stories that is caused by the brain which gathers the parts and fragments of the memory. Because of this, the artist might have felt harder to write a dream scenario rather than dreaming. The reason why dreams have values is that it does not simply include a context of a scenario, but contains a vast system of symbols. Dreams that were created in the reality are not real but more like buoyant objects that could not enter the dream world and wander around instead. Yet, whether they disappear into our minds or evaporate by soaring up to the surface, all objects that are not fixed, albeit not complete enough, tend to become something. Yoosung Kim understands this phenomenon not as a mystic world but a sincere real world which is hidden in the surface of reality.
Epilogue: A sad lie
“Hell is other people.” – Sartre
Indifference hurts in both sides. Indifference covers its pain with lies and hypocrisies. The road that leads to others is always dark and unsure; those who walk on the road always look around constantly. There was once a world where, no matter how one would live, life itself becomes a sin. That world, in which all kinds of Confucian customs or rules were not free, was filled with evil. The moment in which the bitterness and resentment of the memory, shaped by the days that were lived, are resolved is the exact moment of which, to Yoosung Kim, allows oneself to face the truth and gain freedom. She replaces her stories of the past of which only she knew with pictures and paintings. The process of discovering memories once more and engraving them equals the process of unsealing them and conveying their meanings in the future time. He wants to become pure in front of a reality in which fragments of memories that cling on to the edge of life act in a hostile manner.
Now that the audiences have come out from the painting, the cage door has become wide open, and the owl has stopped surveilling and looks with warm eyes. The concept of Thanatos that resembles the first tremble that dissolves everything into red colors returns back into Eros’s physical sense. Between Camus’s two souls, one is the one that breaths suffocating heat and builds a grand novel in the middle of the desert all night, and another is the one that plunges itself in the middle of the cold ocean and enjoys a pleasant sunlight on top of a pile of warmly heated sand. If the artist Yoosung Kim’s sad lies come from the desert, his pictures come out from the ocean. Her pictures, that did not ignore his own thirst within a hot desert, now give out fragrance. Along the wind a soft violin sound comes along. Now the audiences try to watch the scenery within the pictures that seems to create a puzzle that creates a certain emotion that cannot be distinguished due to fragrances, colors, and sounds being intermingled together, and then leave.
The artist may know that, even though a dream catches another and gets repeated and overlapped, dreams never get combined. It is hard to tell the memories that were grown within the sadness that expanded and pierced through darkness reminiscences. I do, however, hope that all these do not stand out as a grotesque image that represent a hidden deficiency or a potential death.
- 부서질 시간의 기억 -
주성열(예술철학 / 세종대 겸임)
들어서며: 비밀의 정원에서
“다른 사람들이 나에 대해 알지 못하는 것, 나는 그것으로 살아간다.” Peter Handke
김유성 작품을 일견 마주하면 붉은 장미향이 느껴진다. 비밀의 정원에서 자란 부드러운 과육의 향기도 난다. 기분이 좋아지는 향기를 맡을 거라는 확신으로 그림 앞에 다가서는 순간 그 향기는 금방 사라진다. 붉은 빛의 온화함 뒤에는 잿빛을 장밋빛으로 물들이는 슬픔의 시간 혹은 작가의 억압된 감정이 비춰진다. 응집되지 못해 생명을 잃은 혈액이 상처를 비집고 나와 공간을 붉게 물들이고 있는 것처럼도 보인다. 외로움이나 공허함은 올빼미나 새장 그리고 널브러진 거울에서도 묻어난다. 작가는 감상자가 향기를 흡입하고 탐닉하도록 두지 않고 그림이 촉발하는 섬뜩한 불안한 세계로 이끈다. 향기에 취했다가 눈을 뜨면 언캐니(uncanny)한 그림은 비로소 헤아릴 수 없는 너무 깊거나 먼 출구를 제시한다.
김유성에게 떠오르는 것이 그림이 되었다하더라도 이를 만드는 것은 막연한 그리움이었을 것이다. 의미보다는 작품 그대로의 분위기를 간직하고 싶지만 작가가 은밀히 담았을지도 모르는 이야기는 불편함에도 불구하고 그림 속으로 다시 집중하게 된다. 그림은 육체가 감당할 수 없었던 과거의 기억들이 현실을 파고든다고 말하는 듯하다. 미래에 대한 두려움이 어두운 과거를 떠오르게 하고, 기억을 촉진시켜 어둠의 공간을 정화의 장소인 붉은 빛으로 공간의 질을 바꾼다. 어두운 과거가 잿빛이나 냉기가 흐르는 푸른빛이라면 미래는 장밋빛이 아니던가.
1. 침묵의 방
“나는 눈을 감습니다. 그러면 아직 태어나지 않은, 그림자처럼 어른거리고 있는 한 세계가 들여다보입니다. 질서와 형상을 갖추지 못한 허깨비들은 부디 마법을 걸어 자기들을 풀어달라고 나에게 손짓하고 있습니다.” 토마스 만
자신의 그림이 공간을 통한 심리적 사유라고 말하는 작가는 무의식의 세계를 환기하는 매개로 사적인 침대를 활용한다. 휴식을 수면이라 생각하는 그의 침실은 불현듯 사건을 저장했던 장소가 된다. 그리고 공허하거나 후미진 자리도 어제는 주목받았을 특별한 공간으로 확장되어 기억을 지우거나 탈피해 주기도 한다.
현실은 꿈의 감옥 이며 꿈은 해방의 도구이자 자유가 자리하는 장소이다. 그러나 삶이 의미 없을 때는 꿈도 결코 해방이 아니다. 부조리한 화면의 구성은 막 깨어난 침대에 우두커니 앉아 있을 때 느끼는 현실과 꿈이 화해 없는 대립, 갈등으로부터 태어났음을 보여준다. 꿈과 현실의 카오스와 같은 부조리한 이미지들은 깨어 있는 상태의 인간을 새롭게 바라보는 법과 새로운 구조를 발견하는 법을 제시하기도 한다. 꿈이 이 세계에 대한 표현이라면 작가에게 그림은 사고의 자유가 가능한 꿈의 언어다. 순결한 공간에 대한 꿈의 사유는 완전히 새로운 공간을 저 먼 곳까지 열어준다. 오직 자신에게만 내재하는 풍부하고 자유로운 영역에서 주체를 해방시켜 텅 빈 시간으로 보내는 출구이다.
2. 부서진 시간
“사실 모든 예술작품은 현실에 있는 그대로의 삶과 사물을, 그러나 누구도 객관적 주관적 시간이라는 장막을 통해야하기 때문에 직접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그대로의 삶과 사물을 우리에게 보여주려는 경향이 있다. 예술은 이 시간의 장막을 찢는다.” 쇼펜하우어
방이라지만, 심연의 끝이 보이지 않는 현기증을 일으키는 공간 속에 다양한 사물이 흩어져 있다. 김유성의 그림은 과거로부터 건져 올린 단편적인 이미지들이 자유롭게 공간을 이동하면서 기억의 사물이 만드는 중세 초기의 ‘메니푸스적인 풍자’로 가득하다. 이는 자신을 표현하지 못하는 세상의 구체적인 고통들, 잃어버린 말들을 말하고 새기는 작가만의 조형언어이다. 또한 과거의 기억을 떠올리는 것은 환상을 그리워하며 살기보다는 현실에서 인식하지 못했던 것들이 최초의 기억처럼 열리는 또 다른 현실을 보기 위함이다. 곧, 존재하지 않는 시간을 그리는 데페이즈망의 공간은 그 인식으로 잃어버린 삶을 기억해 내기 위한 수단이자 매개인 것이다.
기억은 허술하고 쉽게 왜곡된다. 회상은 본질적으로 기억의 조각들을 모아 뇌가 만들어내는 이야기의 재구성이어서 작가는 꿈의 시나리오 쓰기가 꿈꾸는 것보다 어려웠을 것이다. 꿈이 가치가 있는 것은 시나리오의 내용이 아니라 거대한 상징체계를 가지기 때문이다. 현실 속에서 제작된 꿈은 꿈이라기보다는 꿈에 진입도 못한 채 고무풍선처럼 떠돌고 있는 부유물에 불과하다. 그러나 마음속으로 사라지든 표면으로 떠올라 증발하든 모든 무정한 사물들은 충분한 존재는 아니지만 항상 무엇이 되려한다. 김유성은 이를 신비의 세계가 아닌 현실의 외양 속에 감춰진 보다 진정한 현실의 세계로 이해하고 있다.
나가며: 슬픈 거짓말
‘타인은 지옥이다.’ 사르트르
무관심은 서로가 아프다. 거짓과 위선으로 무관심의 아픔을 슬그머니 덮고 있을 뿐이다. 타인을 향해 가는 길은 늘 어둡고 불확실해서 두리번거리게 된다. 어떻게 살아도 삶이 죄가 되는 세상이 있었다. 유교적 규율이든 관습이든 자유롭지 못한 세상은 온통 악으로 넘쳐났다. 살아온 날이 만든 기억의 응어리를 풀어내는 순간이 김유성에겐 그 무엇에 대한 진실과 대면하고 자유를 얻는 순간이다. 나만이 알고 묻어 두었던 지난 시절 이야기를 그림으로 대신 말 한다. 기억을 다시 발견하고 새기는 일은 봉인을 풀고 미래 시간에 의미를 전달하려는 것이다. 삶의 언저리를 물고 늘어지는 기억의 편린들이 적대적인 현실 앞에서 순결해지기를 갈망한다.
이제 그림 밖으로 나오니 새장의 문은 열리고 올빼미도 감시의 눈초리를 해제하고 부드러운 시선으로 바라보고 있다. 붉은 색조로 용해시키는 잠복된 최초의 꿈틀거림 같은 타나토스는 에로스의 육체적 감각으로 복귀한다. 카뮈의 두 개의 영혼 중 하나는 숨 막히는 열기를 호흡하며 밤새 위대한 소설을 사막에 세우는 것이며, 또 하나는 차가운 바다에 몸을 담그고 난 뒤 따뜻하게 달궈진 모래 위에서 기분 좋은 태양 빛을 만끽하는 것이다. 작가 김유성의 슬픈 거짓말이 사막에서 나왔다면, 그의 그림은 바다에서 나온다. 사막 속에서 자신의 목마름을 기만하지 않았던 그의 그림은 향기를 뿜어내고, 바람결에 바이올린의 부드러운 소리가 들리기 시작한다. 이제 감상자는 향과 색과 소리가 한 덩어리로 어울려 분별할 수 없는 어떤 감각을 형성하는 퍼즐과도 같은 그림 속 풍경을 바라보고 있으려다 자리를 뜬다. 작가는 꿈이 꿈을 붙잡고 꿈과 꿈이 서로 반복되고 겹쳐지지만 결코 합쳐지지 않음도 알고 있을 것이다. 어둠을 가로지르며 확산된 비애 속에서 자라난 기억들은 추억이라 부르기 어렵다. 다만, 이 모든 것이 그로테스크한 이미지로서 은폐된 결핍이나 잠재된 죽음만이 아니길 바라뿐이다. ■
The
Red Complex and Granularized Aspects of Life
Shim Sam-yong (Ph.D., History of
Art, Art Critic)
1.
When I visited Yoo-sung Kim's graduate school studio, she was putting the finishing touches on her painting, <The Journey of Life Cherishes Red>(2010). This work appeared to be a metaphor for the difficulty of escaping an orderly system symbolized by an imposing Baroque-style structure emphasizing order and balance. When this work was finally complete, I saw it in digitized format, and noticed that two women had been added toward the rear of the building. At center-left is a woman wearing a red one-piece dress, facing forward while partially obscured by a pillar. At upper-right is a slightly awkwardly-positioned woman located behind a banister. She appears to be naked, half-covered by a red curtain indoors. Perhaps these two women are representations of the artist or even the artist’s alter egos.
The women are dwarfed by the large
& colorless monochromatic structure, which has a garish and dreary façade making
the people look even smaller by comparison. It seems that the freedom of the
women partially obscured by the pillar and red curtain is restricted to some extent
(they might even be prisoners). Whatever the situation may be, the women and
artist Yoo-sung Kim herself will not be able to escape the structure easily.
This conjecture solidified into conviction after viewing another one of the
artist’s works in progress entitled, <The Man Who Cannot Walk Away from Red is
Always Uneasy>(2010) while browsing through the titles of his compositions.
In these works, the nuance of the
narrative space is closely controlled amidst enormous structures standing in
stark contrast to the tiny human figures through the method of using abstract, planar,
and small red circles without respect to laws of order and perspective. It is
not clear what these circles are. At times, they appear like creepy red balls
that have oozed out of the cold walls and stained the canvas. This creates the
effect of disturbing the majesty of the structure, which becomes disordered by
the red circles. The intrusion of chaos and pathos brings about a ripple effect
which is hard for the symmetrical structure to withstand. There are also
sporadic and abundant spots of red floating in the air which the structure
cannot resolve, drawn as if they are dripping down the canvas—representations
of “particles of life” which cannot otherwise be expressed through formative
grammar. The dripping red liquid within the frame of the picture evokes the
image of blood, an inference that is not totally unreasonable considering
Yoo-sung Kim's the entire portfolio. In his world, the continued use of such
phlegmatic elements gives her works a particular narrative quality.
The artist Yoo-sung Kim has defined
the foundation of her works as a “red complex,” which is a quite multifaceted
term. Red can symbolize the color of life as an iconographical element, serve
as an abstract avatar of greed, or even serve as an allegory for feminine minimalism.
The red in her works flows in abundance and self-ruptures, generating conflict with
masculine lineages which seek to maintain conventional forms. Red has a wide
spectrum of symbolism, sometimes provocative and sometimes pure, and it serves
as an unchanging source of meaning in the paintings of Yoo-sung Kim.
Through the formative mechanism of the
primary color red, Yoo-sung Kim is moving closer to the completion of a
narrative which flows through all of his works. Her paintings are a medium in
which the powerful tendencies of life, soft dynamism and various other factors are
tied together in a related web. The elements of space and subject, human and
background, man and doll, space and remembrance, are not separated, maintained
as one whole. In her works, space and composition are part of the spirit as
well as being extensions of inner presence, which in turn expands to take up
space. Paintings are unrelated to the boring and futile arguments over the
boundaries between 2-D and 3-D.
2.
The objects in the world of Yoo-sung
Kim become valued when they satisfy the above requirement to share one spirit.
There is no structure that can completely imprison a person. Rigid bricks crack,
and densely-gathered elements dissipate and drip down. When the environment is
neither here nor there, the floor begins to roll. Sometimes the walls risk
structural failure and escape from the vertical paradigm. The sky is colored
red with pathos-filled stains which fatefully violate the air with sudden
bursts of red. In this way, the austere ash-colored structure encounters
unexpected resistance from freedom.
When we consider the elements filling
this generation, the semanticized elements of Yoo-sung Kim's world suddenly
become clear. The sophistication of Yoo-sung Kim's paintings which lack
discernible purpose, consistency with current trends & styles, enormous
pillars surrounding ideas, false plasticity, artificial decorative beauty and world-weary
facetiousness are based on a sincere desire to create a sense of distance.
In this age of information
overload, what kinds of benefits can a single painting provides viewers? Art is
an accessible conflict with one's self that begins with embracing the poverty
of an era. Art is also a methodology derived from the lives of other people
that results in certain mindsets gaining wide support. This is why art is
better suited for experiences of bitter failure than individual feasts of
success. Experiences of oppression and confinement, exclusion and loss are
honest and dignified confessions of the limits inherent in life, and people
yearn to hear such honest sentiments concerning life. Perhaps this is because they
desperately need such honesty in the process of setting and resetting the
direction of their lives. Maybe that is why Jacques Ellul, author of “The
Betrayal of the West” (Trahison de l’Occident)
made the following comment about the beauty of confession:
“Just like everyone else, I'm a
human being who has
failed some of love’s tests and
life’s challenges.”[1]
The paintings of Yoo-sung Kim
reflect his life and insecurities, her passions and failures, as well as
oppression and her resistance to it. Her paintings show that the artist has
gone through a process of honest self-reflection and careful observation of
past experiences. These paintings offer an important moral to his peers just
starting out in the art world looking for a way ahead. In conclusion, great
things can be expected from Yoo-sung Kim in the future as she explores her
potential in the tranquil waters of the soul. Perhaps a profound wave will
emerge from those depths.
“Even
if the shadow of self-righteousness does not depart your side for long periods,
if you can emerge from this period unscathed, you will find that your roots
have deepened. When observing yourself you will then realize that you are
worthy to receive the praise of others.” (Tolstoy)[2]
빨강 콤플렉스와 입자화된 생명의 양태
심상용(미술사학 박사, 미술평론)
1. 김유성의 대학원 작업실을 방문했을 때, 그는〈삶의 여행은 빨강을 간직한 여행이다>(2010)의 마지막 부분을 그리고 있었다. 질서와 균형의 바로크풍과 급격한 원근법에 의해 위엄을 풍기는 건축물은 견고하게 구조화된, 벗어나기 어려운 어떤 질서나 체계의 메타포로 보였다. 이후 작품이 완성되었을 때-나는 그것을 파일형태로 확인했다-, 건축물의 후면부에는 두 명의 여인이 추가되어 있었다. 화면의 좌측 중앙부에선 빨강색 원피스를 걸친, 반 쯤 기둥 뒤에 가려진 한 여인이 정면을 응시하고 있다. 나머지 한 명의 여인은 건축물의 오른쪽 상단부분의 다소 어색하게 위치된 듯한 난간에서 확인할 수 있다. 그녀는 나체 상태며, 빨간 커튼이 반쯤 젖혀져 있는 실내에 있는 것처럼 보인다. 아마도 그 둘은 각각 김유성 자신이거나 분신임이 분명해 보인다.
거대한데다가 무채색의 모노크롬으로 처리된 칙칙하고 음산한 건축물에 의해 그녀들은 더더욱 작아 보인다. 기둥 뒤에 모습을 감추고 있거나 반쯤 젖혀진 빨간 커튼으로 볼 때, 아마도 (감금상태까지는 아닐지라도)그들의 자유가 어느 정도 제한되어 있는 것이 아닌가 추측된다. 그 상황이 무엇이건, 아마도 그들이, 즉 김유성이 쉽게 그곳에서 빠져 나오지는 못할 것이다. 이런 생각은 나중에 그가 완성 중이었던 또 하나의 작품 제목을 확인하는 과정에서 더 의문의 여지가 없는 것으로 여겨졌다. 그 작품의 제목은 <빨강에서 걸어 나올 수 없는 자, 그는 늘 불안하다>(2010)였다.
그럼에도 이 거대한 체계와 왜소한 인간이 극적으로 대비되는 세계에서 정작 긴밀하게 이 서사공간의 뉘앙스를 조절하는 것은 원근법적 질서와 무관하게 추상적으로-평면적으로- 그려진 빨강색의 작은 원들이다. 그것들이 무엇인가는 분명치 않다. 때론 차가운 벽에서 스멀스멀 배어나와 예기치 않은 얼룩으로 남는다. 이로 인해 위엄에 차있는 체계가 흐트러지고 질서는 교란된다. 이 혼돈과 파토스의 개입은 모노크롬의 균제된 구조로서는 견디기 어려운 파장을 야기시킨다. 공중에 점점이 부유하거나 주체할 수 없이 흘러내리는 그것들은 그런 식이 아니라면, 다른 어떤 조현어법으로도 표현이 불가할 것 같은 생명의 입자들처럼 보인다. 게다가 조금씩 흘러내리는 듯한 액상의 그것들로부터 이내 혈액을 연상시키는 것은 김유성의 회화세계 전체로 볼 때 하등 무리한 추론이 아니다. 그의 세계는 자주 이 부단한 점액질의 것에 의해 서사적 고유성을 확보한다.
김유성 자신은 그것들의 저변을 ‘빨강의 콤플렉스’로 정의하는데, 그 의미는 사뭇 복합적이다. 그것은 생명의 상징적 도상학의 일환일 수도 있고, 욕망의 추상화된 아바타일 수도 있으며, 여성성의 미니멀한 알레고리일 수도 있다. 그것은 흐르고, 부유하고, 스스로 파열됨으로써, 경직되고 정착되어 있으며, 보다 형태보존적인 남성성의 계보와 대립각을 이룬다. 그만큼 그것들은 때론 자극적이고 때론 순결해 보이는 넓은 스팩트럼을 지닌 채, 김유성의 회화공간에서 변함없는 의미의 출처로 작용하고 있다.
이 원색의 조형기제에 의해 김유성의 세계를 관류하는 하나의 서사가 완성에 가까워 간다. 강렬한 생(生)의 동기들, 하지만 부드러운 역동성이 존재하는 모든 요인들을 하나의 관계성 안에 놓이도록 매개한다. 공간과 주체, 인물과 배경, 인간과 인형, 공간과 기억은 분리되지 않은 채 하나로 존재하고 유지된다. 여기서 공간과 구성은 마음의 일환이고 존재 내면의 연장이다. 공간으로 확장된다. 회화는 2차원과 3차원의 구획을 둘러싼 지루하고 공허한 논쟁과는 하등 무관하다.
2. 김유성의 회화에서 공간은 매우 중요한 요인이다. 많은 경우 보이는 공간들은 보이지 않는 다른 공간의 존재를 암시하고 있다. 밀폐된 듯 보이는 경우에도, 공간은 스스로 밀폐되지 않기 위한 은밀한 기제들을 내부에 지니고 있다. 하나의 공간은 계단이나 창문, 거울 등을 통해 부단히 서사 밖의 공간으로 매개된다. <슬픈 꿈의 대화>(2010)를 보라. 창문에 덧문까지 꼭꼭 잠겨있지만, 이번에는 거울이 외부로 향하는 가능성의 통로를 제공하고 있다. 분리, 차단, 소외, 답답함과의 눈에 띠지 않는 싸움이 치루어지고 있다는 방증이 도처에서 목격된다. <안녕.. 나의 작은 소녀여>(2009)는 그 중에서도 백미(白米)로 여겨질만 하다. 여기서 ‘작은 소녀’는 결코 승자나 패자가 아니다. 그는 군림하지도 속박당하지도 않으면서, 단지 공간의 일환으로서 공간과 함께 존재한다. 소녀는 소파 뿐 아니라, 거울과 커튼과 바닥과도 별개가 아니다. 사물들은 서로에게 끌리고 마음을 연다. 그것들은 서로에게 더 이상 물신으로 존재하지 않는다.
이 세계에서 존재는 정확하게 그에 부응하는 만큼 존중된다. 어떤 건축물도 인간을 완전히 감금할 만큼 견고하지는 못하다. 경직된 벽들에는 금이 가고, 완고하게 뭉쳐 있던 것들은 흘러내린다. 이도 저도 아닐 때는 바닥이 울렁거린다. 벽은 때때로 구조적 위험을 무릅쓰면서 수직의 질서로부터 이탈한다. 그리고 대기는 붉은 색의 액상들, 파토스적인 얼룩들, 급작스러운 파열에 의해 운명적으로 침해된다. 이렇듯, 준엄하게 구조화된 잿빛의 체계는 예기치 않은 자유의 저항에 직면한다.
이 세대를 가득 메우고 있는 것들을 떠올릴 때, 김유성의 세계가 의미화되는 지점이 새삼 명료해 진다. 적어도 분명하게 말할 수 있는 한 가지는 김유성의 회화가 목적 없는 세련미, 덧없이 시류를 따르는 스타일들, 거창한 주석들에 둘러싸인 사념들, 온갖 조형적 허세, 작위적인 장식미, 염세적인 우스꽝스러움 등과 거리를 취하려는 성실한 태도에 기반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오늘날과 같은 시각정보의 홍수 속에서 한 점의 회화가 사람들에게 베풀 수 있는 시혜는 무엇인가? 예술은 한 시대의 결핍을 끌어안는 것으로부터만 가능한 내적 싸움, 그리고 한 인간의 삶으로부터만 도출되는 방법론에 의해서만 지지되는 지성(知性)이다. 예술이 자주 성공의 자축연보다 쓰디 쓴 실패의 경험과 더 잘 어울리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억압과 유폐의 경험, 소외, 상실감이야말로 존재의 한계에 대한 정직하고 존엄한 고백의 일환이기 때문이다. 사람들은 삶에 관한 정직한 고백에 목말라한다. 그것이야말로 자신의 삶의 좌표를 조정하고 재조정하는데 있어 절실하게 필요한 것이기 때문이다. 이런 면에서 『서구의 몰락』의 저자 자크 엘륄의 다음과 같은 고백은 차라리 아름다운 싯구처럼 마음을 울린다.
“나는 어느 누구와 마찬가지로 인간일 뿐이며 사랑에 대한 일부 시험을 통과하지 못했고, 도전을 모두 극복하지도 못했다”
김유성의 회화는 정확하게 김유성의 삶과 콤플렉스, 열망과 상실, 속박과 저항에서 연원된다. 그곳에는 자신의 삶의 경험으로부터 비롯되는 섬세한 관찰과 정직한 성찰이 자리하고 있다. 이는 이제 막 삶의 거센 물결 속에서 미(美)의 항로를 찾아나가는 신참에게 더할 나위 없이 요긴한 미덕이 아닐 수 없다. 김유성이 종국에는 우리 모두의 내면에 잠재하는 잔잔한 바다에 하나의 심오한 물결을 만들어내는 데까지 이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 … 때로는 위험한 독선의 그림자가 자기 곁에 오래 머물지라도 그 과정을 무사히 견뎌낼 수 있다면 나중에는 뿌리가 깊어진 자기 자신을 보며 다른 사람들의 찬사를 받을 수 있을 것이다.”(톨스토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