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 사진=비짓
제주 / 사진=비짓 제주 홈페이지 지난 ‘국내 8개 시도의 인기 관광지 톱5’에 이어 ‘대구광역시·인천광역시·울산광역시·제주특별자치도 등 4개 지역의 인기 관광지 톱 5’ 전합니다. 관광지 선정은 한국관광데이터랩의 세대별 ‘인기 관광지’ 데이터를 기반으로 했습니다. 데이터 집계 기간은 2024년 3월부터 2025년 2월까지입니다. 20대부터 60대 이상의 우리 국민이 티맵 모빌리티 내비게이션 데이터를 활용해 검색 건수 합계가 높은 관광지의 상대적 비율을 따져 분석했습니다.1. 수성못에 뭐가 있길래?…대구광역시 대구 엑스코 서관 먼저 대구의 인기 관광지다. 1위와 2위가 모두 일반적인 관광지가 아닌 문화 및 운동 시설인 점이 눈에 띈다. 1위의 영예는 북구에 자리한 ‘엑스코(EXCO) 서관’이 올랐다. 비중은 17.2%다. 이곳은 전시, 콘서트, 콘퍼런스 등 행사를 개최하는 문화생활시설이다. 2위는 14.1%를 차지한 수성구의 프로야구장인 ‘대구삼성라이온즈파크’다. 이월드 / 사진=이월드 홈페이지 3위에는 놀이공원인 ‘이월드’가 올랐다. 전체 인기 관광지 비중 중 14%를 차지해 2위와 간발의 차를 기록했다. 이월드에서는 벚꽃 타워길, 벚꽃 테라스, 다이나믹힐 등 벚나무가 늘어선 봄 벚꽃 명소도 마주할 수 있다. 이월드에서는 스카이웨이·메가스윙360·매직열차 등 십여 개 놀이기구를 즐길 수 있다. 수성못 / 사진=한국관광공사 홈페이지 이어 ‘수성못’이 13.6%로 4위다. 이곳은 말 그대로 수성구에 있는 인공 못이다. 수성못에서 오리배 등 시설을 운영한다. 못 주변에 스케이트와 바이킹 등을 탈 수 있는 소형 놀이공원인 ‘아르떼 수성랜드’도 있다. 수성못을 따라 벚나무가 있어 봄에 산책하기 좋다. 마지막 5위는 ‘옥연지송해공원’이다. [앵커] 윤석열 전 대통령은 파면 사흘째 오늘(6일)도 한남동 관저에서 머물고, 이르면 이번 주 초쯤 퇴거할 것으로 보입니다. 대통령실은 고위 참모진들이 윤 전 대통령을 예방한 데 이어 조직 정리 작업에 들어갔습니다. 신윤정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적막한 분위기가 흐르는 한남동 관저 인근, 윤석열 전 대통령 퇴거를 위한 대통령경호처의 특별한 움직임은 없었습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정리와 준비에 시간이 걸리는 것으로 안다며 이번 주말은 넘겨야 퇴거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습니다. 이에 따라 윤 전 대통령은 이르면 이번 주 초에나 관저를 나올 것으로 보입니다. 윤 전 대통령이 취임 뒤에도 6개월가량 출퇴근했던 서초동 사저로 옮길 가능성이 큽니다. 다만, 주상복합 아파트인 탓에 경호동 설치가 쉽지 않고 주민 불편과 윤 전 대통령 부부가 키우는 반려동물이 많은 점 등을 고려해 다른 장소를 물색하고 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습니다. 경호처 관계자는 윤 전 대통령이 이주할 장소가 결정되면 관련 법률 등에 따라 경호활동을 시행할 것이라면서도 아직 퇴거 계획을 통보받은 건 없다고 말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파면 사흘째 침묵을 지키고 있는 대통령실은 조직 정리작업에도 들어갔습니다. 정진석 비서실장 등 고위 참모진은 헌재 선고 직후 한남동 관저를 찾아 윤 전 대통령과 오찬을 하며 사저 복귀 방안 등을 점검했습니다. 대통령실 홈페이지는 운영이 중단됐고, 윤 전 대통령의 공식 SNS 계정 안내문도 '대한민국 대통령'에서 '제20대 대통령'으로 변경됐습니다. 윤 전 대통령의 직무 정지 뒤에도 일요일마다 정진석 실장 주재로 열리던 수석비서관회의도 열리지 않습니다. 실무진들 역시 당이나 소속 부처 등으로 복귀하는 등 하나둘 용산을 떠날 예정입니다. YTN 신윤정입니다. YTN 신윤정 (yjshine@ytn.co.kr)※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제주 / 사진=비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