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로부터 2년후인 2022년 러 > 갤러리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갤러리

그로부터 2년후인 2022년 러

페이지 정보

작성자 onion 댓글 0건 조회 1회 작성일 25-04-08 00:57

본문

그로부터 2년후인 2022년 러시아군 15만이 우크라이나 국경을 넘었을 때 우크라이나라는 국가의 존재 가능성에 대한 회의적인 시선이 주류였던 가운데 아마추어 드론 애호가들을 시작으로 UKR군이 상업용 드론을 공격무기로 활용하는 빈도가 크게 늘어났고 한계는 있었지만 상당한 전술적 성과를 거두었다.소총탄 소모 대비 살상률이 매우 미미한 편이지만 그 누구도 소총과 소총탄의 살상력을 무시하지 않듯이 표적 접근률이 20~40%라고 해서 드론(FPV)를 우습게 볼 수는 없다.2020년 아르메니아/아제르바이잔 전쟁에서 양측, 특히 아제르바이잔은 다수의 자폭드론을 활용해 아르메니아군의 장비를 파괴하면서 드론의 가능성을 보여줬지만 제3세계급 '허접한'군사력의 양측군대간 전쟁의 성과를 두고 큰 의미를 갖기는 어려웠다.앞서 언급한 영국왕립 씽크탱크 RUSI의 드론 타격성공률에 대한 '저조한'분석에도 불구하고 전장의 병사들에게 드론이 부담이 되는 것만은 사실이고 실제 전장에서도 드론의 운영은 전술적 성과에 상당한 영향을 미쳐왔다.양측이 자신의 드론운영능력을 극대화 하며 상대의 역량을 무력화시키는데 전력을 다하는 가운데 최근 UKR측에서 독특한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드론 운영이 어려울 정도로 강풍이 부는 기상상황 하에서 러시아군의 전술적 성과가 상대적으로 좋았던 것은 사실이고, 전장의 양측 병사들의 증언은 전장 상공에 드론이 가득하다고 언급하고 있다.2014년 돈바스 전쟁의 휴전 이후 설정된 '돈바스(UKR)'의 군사분계선에서는 러시아의 후원을 받는 친러반군의 도발에 대응하기 위해 UKR군이 상용드론을 활용해 반군들에 폭탄을 투하하는 영상이 가끔 소개되곤 했다.현재 양측의 전자전 재밍 시스템은 FPV 드론을 운영하는 운영병의 Screen Gogle과 드론간의 송수신 주파수를 교란시켜 운영병의 고글에 드론의 진행방향의 전장상황이 나타나지 않도록 만드는 양상이다.영국왕립 씽크탱크 RUSI에서 펴낸 보고서에 따르면 상대적으로 기술이 숙련된 UKR측의 FPV 드론이라 하더라도 투입한 드론의 60~80%는 목표 근처에도 접근하지 못한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양측은 저가 드론을 대량생산해 활용하는 컨셉을 채택했고 필수부품은 상업용 드론 시장에서 강자인 '중국'으로부터 수입했다.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모두 중국산 부품에 의존해 드론 전쟁을 치루고 있다고 해도 과언은 아니다.이러면 실패가 아닐까 생각할 수 있지만 꼭 그렇지는 않다.러시아군은 우크라이나 정부의 빠른 붕괴에 목표를 둔 고속기동전을 수행하다보니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면서 피해가 쌓였고 설상가상으로 수도'키이우'로 향하는 제한된 도로와 도로상의 위성도시들에서 UKR군이 종심방어를 수행하면서 피해가 눈덩이처럼 늘어나자 결국 수도 공략은 포기할 수밖에 없었다.에너지 자원 부국인 러시아 산업계에서 상위 10위권에서 2개 업체(금융/IT 각 1개)를 제외한 나머지 기업들이 석유나 광물채굴기반 산업체라는 점은 러시아 산업계가 드론이나 IT 분야에 집중하기 어려운 상황임을 보여준다.북쪽 거지들은 그 역량상 2023년 하마스의 10/7 하마스 기습과 같은 사건을 벌이더라도 대부분 한국에서 노획하는 장비를 재사용할 가능성이 높다. 부칸군이 드론에 관심이 많고 신형 드론을 선보이는 것은 사실이니 한국군에게도 UKR군과 같은 사이버 작전이 가능한 환경이 펼쳐진 것은 분명하기 때문이다.이른바 드론 전쟁의 현존 끝판왕 이벤트라고 볼 수 있는 우크라이나 전쟁은 드론의 기능과 전술면에서 현재도 진행중이다. 드론을 활용해 적을 공격한 것은 2010년대 중후반 ISIS 게릴라들이나 돈바스(UKR)군사분계선의 양측 군대들이었다.개전 수개월 전인 2021년간에도 러시아군은 정찰과 제한적인 공격이 가능한 Orlan-10 무인기를 운영해 UKR군을 빈번하게 공격해왔지만 대량 소모전이 장기화 되자 양측은 저렴하게 대량 생산해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야 하는 소모성 자폭드론(FPV)로 개념을 전환했다.배터리 절약을 위해 도로변에 착륙해 은신후 공격.그러면 드론은 얼마나 효과가 있을까...러시아군은 UKR군측 드론병을 생포해 즉결처형한 사례가 수차례 확인되었다는 UKR측과 러시아내 반-푸틴 언론의 보도가 있어 러시아측도 드론인프라의 위협을 중대하게 보고 있는 것은 명확해 보인다.재밍공격당하는 UKR 드론.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 게시물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접속자집계

오늘
1,431
어제
1,512
최대
4,214
전체
2,094,153

메일보내기 페이스북 바로가기 인스타그램 바로가기

c.p :82 -10 - 9500 - 2162

Copyright 2018 © kimyoosung.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