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년 대비 봄철 기온 빠르게 상승… 안전한 주행 환경 위한 점검 필수마모 정도·공기압·찢어짐 현상 등 평소보다 앞당겨 세심한 관찰·확인 권장기후에 맞는 계절용 타이어 장착도 중요… 접지력·제동성능 등 큰 차이[편집자주] 'momo톡'은 MoneyS의 Mo, Mobility의 Mo에 토크(Talk)를 합친 단어입니다. 머니S 모빌리티팀의 특성을 살려 다양한 탈 것 관련 스토리를 연재하며 자동차 부품과 용품은 물론 항공 관련 정보도 제공하는 코너입니다.안전한 자동차 주행을 위해 타이어의 꼼꼼한 관리가 필요하다. /사진=이미지투데이 자동차 타이어의 역할은 중요하고 명확하다. 타이어는 차의 무게를 안정적으로 지탱하는 동시에 안전한 운행과 편안한 승차감까지 선사한다. 혹한의 겨울을 지나 따뜻한 봄이 와도 타이어에 대한 세심한 관찰과 적절한 관리를 해야만 안전운행이 보장된다. ━타이어도 '피부 관리'가 필요하다━타이어 점검 요소 가운데 가장 중요한 부분은 마모 정도다. 타이어가 마모되면 제동력이 떨어져 위험도 역시 높아진다. 자동차 운전자들은 일반적인 날씨의 노면뿐만 아니라 봄철 빗길에서 타이어 마모도에 따른 위험성도 인지하고 있지만 실제 위험 상황에 대한 경험이 많지 않아 세심하게 살피지 못한다.동일한 타이어 마모 상태로 제동력 테스트를 진행하면 젖은 노면에서의 미끄러지는 거리는 일반 도로보다 1.5배 이상 길어진다. 브레이크를 밟아도 이미 사고가 벌어졌을 가능성이 높아진다.빗길 미끄러짐 현상은 타이어의 배수 능력과 관련이 깊다. 타이어는 트레드(지면과 맞닿은 타이어 표면)라는 고무층 사이 홈이 있어 주행 시 도로 위의 고인 물의 배수를 돕는다. 타이어가 지나치게 마모된 경우 홈의 깊이를 얕게 만들어 배수 능력을 감소시킨다. 타이어와 도로 표면 사이에 수막현상까지 유발된다. 수막현상은 고속에서 더욱 심화되는데 타이어가 심하게 마모된 차가 젖은 노면 위를 고속으로 달리면 물 위에서 주행하는 것과 비슷할 정도로 위험하다.한국타이어에 따르면 젖은 노면에서 시속 100㎞ 이상의 속도로 주행하다 급제동 시 홈의 깊이가 7㎜인 새 타이어와 1.6㎜의 마모 한계선에 이르러 심하게 닳은 타이어는 제동력이 약 2배 차이 났다. 시속 80㎞의 속도로 진행한 코너링 실험에서는 마모 정도가 거의 없는 평년 대비 봄철 기온 빠르게 상승… 안전한 주행 환경 위한 점검 필수마모 정도·공기압·찢어짐 현상 등 평소보다 앞당겨 세심한 관찰·확인 권장기후에 맞는 계절용 타이어 장착도 중요… 접지력·제동성능 등 큰 차이[편집자주] 'momo톡'은 MoneyS의 Mo, Mobility의 Mo에 토크(Talk)를 합친 단어입니다. 머니S 모빌리티팀의 특성을 살려 다양한 탈 것 관련 스토리를 연재하며 자동차 부품과 용품은 물론 항공 관련 정보도 제공하는 코너입니다.안전한 자동차 주행을 위해 타이어의 꼼꼼한 관리가 필요하다. /사진=이미지투데이 자동차 타이어의 역할은 중요하고 명확하다. 타이어는 차의 무게를 안정적으로 지탱하는 동시에 안전한 운행과 편안한 승차감까지 선사한다. 혹한의 겨울을 지나 따뜻한 봄이 와도 타이어에 대한 세심한 관찰과 적절한 관리를 해야만 안전운행이 보장된다. ━타이어도 '피부 관리'가 필요하다━타이어 점검 요소 가운데 가장 중요한 부분은 마모 정도다. 타이어가 마모되면 제동력이 떨어져 위험도 역시 높아진다. 자동차 운전자들은 일반적인 날씨의 노면뿐만 아니라 봄철 빗길에서 타이어 마모도에 따른 위험성도 인지하고 있지만 실제 위험 상황에 대한 경험이 많지 않아 세심하게 살피지 못한다.동일한 타이어 마모 상태로 제동력 테스트를 진행하면 젖은 노면에서의 미끄러지는 거리는 일반 도로보다 1.5배 이상 길어진다. 브레이크를 밟아도 이미 사고가 벌어졌을 가능성이 높아진다.빗길 미끄러짐 현상은 타이어의 배수 능력과 관련이 깊다. 타이어는 트레드(지면과 맞닿은 타이어 표면)라는 고무층 사이 홈이 있어 주행 시 도로 위의 고인 물의 배수를 돕는다. 타이어가 지나치게 마모된 경우 홈의 깊이를 얕게 만들어 배수 능력을 감소시킨다. 타이어와 도로 표면 사이에 수막현상까지 유발된다. 수막현상은 고속에서 더욱 심화되는데 타이어가 심하게 마모된 차가 젖은 노면 위를 고속으로 달리면 물 위에서 주행하는 것과 비슷할 정도로 위험하다.한국타이어에 따르면 젖은 노면에서 시속 100㎞ 이상의 속도로 주행하다 급제동 시 홈의 깊이가 7㎜인 새 타이어와 1.6㎜의 마모 한계선에 이르러 심하게 닳은 타이어는 제동력이 약 2배 차이 났다. 시속 80㎞의 속도로 진행한 코너링 실험에서는 마모 정도가 거의 없는 타이어의 경우 2~3m가량 미끄러진 반면 마모 정도가 심한 타이어는 도로 밖으로 이탈하는 등 위험성이 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