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비 [연합뉴 > 갤러리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갤러리

봄비 [연합뉴

페이지 정보

작성자 onion 댓글 0건 조회 6회 작성일 25-04-13 16:15

본문

봄비 [연합뉴스 자료사진] (대구=연합뉴스) 황수빈 기자 = 대구와 경북 지역에 산불 걱정을 덜어 줄 단비가 내렸다.13일 대구기상청에 따르면 전날 오후 2시부터 이날까지 지역 누적 강수량은 경주(토함산)가 36㎜로 가장 많았다.이외 누적 강수량은 대구 20.7㎜, 청송 13.6㎜. 의성 12.7㎜, 울진 11.7㎜, 안동 11.5㎜, 영양 10.5㎜ 등이다.산림청 국가산불위험예보시스템에 따르면 이날 오전 7시 30분을 기준으로 대구와 경북의 산불위험지수는 각각 22.4, 20.9로 '낮음' 단계다.산불위험지수는 낮음(51 미만), 다소 높음(51∼65), 높음(66∼85), 매우 높음(85 이상) 등 4단계로 나뉜다.대구와 경북 지역에는 당분간 눈이나 비가 내린다.이날 경북북부, 울릉도·독도에 5㎜ 미만의 비가 내리겠다.이어 오는 14∼15일 대구와 경북 지역에는 5∼20㎜의 비가, 경북북서내륙(문경·예천·상주)·경북북동내륙(영주·봉화·영양), 경북북동산지에는 1㎝ 내외 눈이 예보됐다.산림청 관계자는 "산불 예방에는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이며 정확한 산불 전망은 내부적으로 분석해야 알 수 있다"고 말했다.hsb@yna.co.kr▶제보는 카톡 okjebo‘지상 낙원’ ‘인도양의 진주’…. 몰디브에 쏟아지는 찬사는 다채롭다. 하지만 낙관만 있는 건 아니다. 국가 전체 평균 해발 고도가 1.5m 남짓. 최고로 높아 봐야 2.4m에 불과하다. 그래서 몰디브는 기후 변화로 ‘가장 먼저 가라앉을 나라’에 꼽힌다. 오늘도 몰디브는 정말 침몰 중일까? 몰디브 정부가 기후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수도 말레 인근에 만든 인공섬 ‘훌후말레’./몰디브 주택개발공사 페이스북 몰디브 침몰설은 2007년 유엔 기후변화위원회(IPCC)의 경고로 본격화했다. “2100년까지 해수면이 59cm가량 상승한다고 가정했을 때, 몰디브 국토 대부분이 잠길 수 있다”는 내용. 2년 뒤인 2009년 10월, 모하메드 나시드 당시 대통령이 13명과 함께 세계 최초로 ‘수중 내각 회의’를 개최하면서 위기감이 고조됐다. 수심 6m 테이블에서 스쿠버 다이빙 장비를 착용한 채 수신호로 의사소통하는 각료들의 모습에 국제 사회는 ‘몰디브를 잃을 수도 있겠다’고 우려했다.그러나 “최소 수백 년은 걱정 없다”는 반론도 적잖다. 2023년 뉴욕타임스는 ‘사라지지 않은 사라지는 섬들’이라는 기사에서 “몰디브 일부 섬이 침식되는 건 사실이지만, 또 다른 섬엔 퇴적이 일어나 면적이 증가하기도 한다”는 전문가 연구 결과를 소개했다. 파도가 몰디브를 특별히 아끼는지, 꾸준히 모래를 쌓아 올리고 있다는 것이다. 기술도 한 스푼 힘을 보탰다. 수도 말레 인근의 훌루말레(Hulhumalé)는 1997년 산호 위에 모래를 쌓아 만든 해발 2m짜리 인공섬이다. 여의도 약 1.5배 규모의 땅이 새로 생긴 것이다. 몰디브에서 만난 사람들도 “각 리조트에서도 모래를 조달해 꾸준히 해변을 정비 중”이라며 “하루아침에 사라질 파라다이스는 아니니 걱정 말고 여행하라”고 입을 모았다.다만 기후 변화를 무시할 수는 없다. ‘몰디브의 보물’ 코코넛은 야자수의 고령화, 비정상적 강우 패턴으로 생산량이 급감했다. 몰디브 정부가 자국 농업 보호를 위해 유지해 온 ‘코코넛 수입 금지’ 조치를 2017년 해제한 이유다. 해수온 상승 역시 어업이 밥줄인 국가엔 악재다.몰디브는 막연히 침몰을 기다리지 않고 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 게시물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접속자집계

오늘
407
어제
1,556
최대
4,214
전체
2,106,555

메일보내기 페이스북 바로가기 인스타그램 바로가기

c.p :82 -10 - 9500 - 2162

Copyright 2018 © kimyoosung.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