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석원 현대차그룹 기획조정본부장 부사장과 > 갤러리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갤러리

한석원 현대차그룹 기획조정본부장 부사장과

페이지 정보

작성자 oreo 댓글 0건 조회 0회 작성일 25-04-21 14:27

본문

한석원 현대차그룹 기획조정본부장 부사장과 이주태 포스코홀딩스 미래전략본부장 사장이 21일 서울 강남구 현대차 강남대로사옥에서 열린 철강 및 이차전지 핵심 소재 등에 대한 업무 협약식에서 관계자들과 기념 촬영하고 있다. 현대차그룹 현대차그룹과 포스코그룹이 철강과 2차전지 소재 분야에서 협력을 약속했다. 철강 시장 라이벌인 두 그룹이 미국의 철강·자동차 관세 부과로 통상 환경이 급변하자 전략적 협력을 선택한 것이다. 21일 현대차그룹과 포스코그룹은 ‘철강, 2차전지 소재 분야 등 포괄적 사업협력 위한 업무 협약식(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서울 강남구 현대차 사옥에서 열린 협약식에는 한석원 현대차그룹 기획조정본부장(부사장)과 이주태 포스코홀딩스 미래전략본부장(사장) 등이 참석했다. 서울 양재동 현대차그룹 사옥에 있는 현대차 로고. [중앙포토] 두 그룹의 협력은 ‘제철소 투자와 생산 공유’로 요약된다. 현대차그룹이 미국 루이지애나주에 총 58억 달러(약 8조2200억 원)를 투입해 건설하는 전기로 제철소에 포스코그룹이 공동 투자한다. 현대차그룹은 필요한 투자의 절반가량을 외부에서 조달하기로 했는데, 여기에 포스코그룹이 참여하는 구조다. 투자 지분 비율 등은 협의 중이다. 현대차그룹 루이지애나 제철소는 자동차 강판 특화 제철소로, 연간 270만 톤(t) 규모의 열연 및 냉연 강판을 생산한다. 현대제철은 이곳에서 생산한 강판을 미국 내 현대차·기아 공장과 글로벌 완성차 업체에 공급할 예정이다. 포스코는 이 제철소 생산 물량을 일부 확보해 직접 현지 판매하는 방안을 협의 중이다. 포스코그룹은 미국에 생산 기지를 설립하지 않고도 현지 생산 교두보를 마련하는 효과를 얻게 됐다. 현재 포스코는 미국에 철강 가공센터를. 멕시코에 자동차용 강판 공장을 두고 있지만 제철소는 없어 한국에서 소재를 공급하고 있다. 이에 지난해 장인화 회장 취임 이후 미국에 쇳물부터 제품 생산까지 포괄하는 ‘현지 완결형 투자’를 추진해왔다. 특히 장 회장이 철강 등 소재와 모빌리티 사업 간 시너지 창출을 모색하던 중이었는데, 지난해 하반기 장 회장과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간 논의가 이루어지며 이번 사업 협력 방안이 구체화 됐다고 한다. 서울 강남구 포스코 사옥 모습. 뉴스1 전기차(EV) 배터리 등 2차 한석원 현대차그룹 기획조정본부장 부사장과 이주태 포스코홀딩스 미래전략본부장 사장이 21일 서울 강남구 현대차 강남대로사옥에서 열린 철강 및 이차전지 핵심 소재 등에 대한 업무 협약식에서 관계자들과 기념 촬영하고 있다. 현대차그룹 현대차그룹과 포스코그룹이 철강과 2차전지 소재 분야에서 협력을 약속했다. 철강 시장 라이벌인 두 그룹이 미국의 철강·자동차 관세 부과로 통상 환경이 급변하자 전략적 협력을 선택한 것이다. 21일 현대차그룹과 포스코그룹은 ‘철강, 2차전지 소재 분야 등 포괄적 사업협력 위한 업무 협약식(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서울 강남구 현대차 사옥에서 열린 협약식에는 한석원 현대차그룹 기획조정본부장(부사장)과 이주태 포스코홀딩스 미래전략본부장(사장) 등이 참석했다. 서울 양재동 현대차그룹 사옥에 있는 현대차 로고. [중앙포토] 두 그룹의 협력은 ‘제철소 투자와 생산 공유’로 요약된다. 현대차그룹이 미국 루이지애나주에 총 58억 달러(약 8조2200억 원)를 투입해 건설하는 전기로 제철소에 포스코그룹이 공동 투자한다. 현대차그룹은 필요한 투자의 절반가량을 외부에서 조달하기로 했는데, 여기에 포스코그룹이 참여하는 구조다. 투자 지분 비율 등은 협의 중이다. 현대차그룹 루이지애나 제철소는 자동차 강판 특화 제철소로, 연간 270만 톤(t) 규모의 열연 및 냉연 강판을 생산한다. 현대제철은 이곳에서 생산한 강판을 미국 내 현대차·기아 공장과 글로벌 완성차 업체에 공급할 예정이다. 포스코는 이 제철소 생산 물량을 일부 확보해 직접 현지 판매하는 방안을 협의 중이다. 포스코그룹은 미국에 생산 기지를 설립하지 않고도 현지 생산 교두보를 마련하는 효과를 얻게 됐다. 현재 포스코는 미국에 철강 가공센터를. 멕시코에 자동차용 강판 공장을 두고 있지만 제철소는 없어 한국에서 소재를 공급하고 있다. 이에 지난해 장인화 회장 취임 이후 미국에 쇳물부터 제품 생산까지 포괄하는 ‘현지 완결형 투자’를 추진해왔다. 특히 장 회장이 철강 등 소재와 모빌리티 사업 간 시너지 창출을 모색하던 중이었는데, 지난해 하반기 장 회장과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간 논의가 이루어지며 이번 사업 협력 방안이 구체화 됐다고 한다. 서울 강남구 포스코 사옥 모습. 뉴스1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 게시물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접속자집계

오늘
710
어제
1,226
최대
4,214
전체
2,116,039

메일보내기 페이스북 바로가기 인스타그램 바로가기

c.p :82 -10 - 9500 - 2162

Copyright 2018 © kimyoosung.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