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윤석 > 갤러리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갤러리

[앵커] 윤석

페이지 정보

작성자 oreo 댓글 0건 조회 3회 작성일 25-04-21 23:28

본문

[앵커] 윤석 [앵커] 윤석열 전 대통령파면 이후청와대를 찾는발길이 늘고 있습니다. 차기 정부에서다시 청와대로복귀할 수도 있다는생각에마지막 관람이 될지 모른다며 관람객들이 몰리고 있다는데,현장카메라 서창우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기자] 낮 기온이크게 오른 지난 주말. 청와대 담장 주변으로관람객들이 줄지어 서 있습니다. 티켓을 예매해도정문 입장까지는 난관입니다. [현장음] "지금은 줄이 길어서 미리 입장하는 건 안 될 것 같습니다." 긴 줄은 좀처럼 줄어들 기미를 보이지 않고, 반팔 차림의 관람객들은 연신 땀을 닦습니다. [현장음] "입장 줄이야 저거?" 관광버스도 줄지어 도착합니다. [청와대 인근 주차요원] "여기가 마당이잖아요. 다 채우고 줄을 섰으니까. 이렇게까지 그런 적은 없었나 보더라고요." 정문을 간신히 통과해도관람하려면 또 기다려야 합니다. 대통령 집무실이 있는본관을 보려는 줄입니다. 보시는 것처럼 입장하려면여기서부턴 1시간 반이 걸리고요,조금 더 걸어가 볼게요. 100미터 앞인 이곳에서도 1시간을 기다려야 합니다. 날씨가 풀렸다고 해도 이렇게까지 관람객이 몰리는 이유,차기 정부에서다시 청와대를 사용하게 되면더 이상 관람을 못 할지도 모른다는 생각 때문입니다. [노정문/ 강원 강릉시] "누가 들어오면 이제 못 올 것 같아가지고 미리 한번 대통령들이 살았던 데니까 한번 와 본다고." [송인규·김경숙/ 전남 순천시] "일반인들이 접근할 수 없는 공간이다 보니까 상당히 잘 가꿔져 있고, 한번쯤 와서 놀만하다, 즐길만하다." [현장음] "다음에 언제 와? 세종시 내려가면. (웃음)" 탄핵 선고 이후 관람객 수치를 비교해 봤더니, 2배 이상 늘었습니다. 주변 상인은 혹시나 하는 기대감을 갖고 있습니다. [A씨/ 청와대 인근 식당 주인] "이 사람들(청와대, 경비단 직원 등) 가고 문을 많이 닫았어요." [B씨/ 청와대 인근 식당 주인] "처음 같은 경우는 30-40% 정도 (매출이 줄었죠.) 만약에 이전이 된다고 하면 경호실이나 뭐 많이들 오시니까 그럼 아무래도 뭐 더 낫죠." 주민 반응은 엇갈립니다. [C씨/ 인근 주민] "청와대가 오면 집값도 안 올라가요. 농성이 많고, 경비가 심하다 보니까 안 좋아하죠. 60-70%는 반대하지 않나." 대선이 43일 앞으로 다가온 상황. 청와대 안팎은 벌써 들썩이고 있습니다. 현장카메라, [이데일리 장병호 기자] 서울 양재동에 있는 갤러리작은 국내 미술계에서 주목받는 30대 여성작가 김은혜·이미소·한아름의 작품으로 꾸민 기획전 ‘봄날의 치유’를 오는 26일까지 개최한다. 김은혜 작가 ‘감정의 집 75’. (사진=갤러리작) 이번 전시에 참여하는 작가들은 SNS와 MZ세대가 이끄는 미술품 대중화 물결 속에서 두각을 나타내며 국내외 개인전과 그룹전, 아트페어에서 호평받고 있는 이들이다. 생동감 있는 색채와 따스한 에너지로 보는 이들에게 희망과 치유의 메시지를 전하는 작품들을 모아서 소개한다. 김은혜 작가는 삶의 여정을 집의 풍경으로 표현한다. 동굴에서 나온 인간이 가장 먼저 만든 것이 집이라는 생각에서 출발해 ‘감정의 집’, ‘마을, 빌리지’, ‘공간’ 시리즈를 통해 삶의 태도와 관계의 의미를 상징적으로 풀어낸다.‘감정의 집’ 시리즈는 풍부한 색감과 함께 아이와 성장하는 모성의 일상을 섬세한 내러티브로 그려낸다. ‘마을, 빌리지’에선 타인과의 조화를, ‘공간’에선 집 안에 있던 공룡 캐릭터가 밖으로 나와 우주 같은 세계와 마주하는 여정을 담는다. 이미소 작가 ‘감정나무 113’. (사진=갤러리 작) 이미소 작가의 ‘감정나무’ 시리즈는 인간의 복합적 감정을 나무에 투영한 작품이다. 계절에 따라 앙상한 가지에서 새싹이 트고 꽃이 피었다가 단풍으로 물들고 낙엽이 지는 나무처럼, 사람도 매일 다른 감정으로 살아간다는 통찰을 담았다. 단순한 둥근 형태가 아닌 반달, 하트, 별, 다이아몬드, 미키마우스 등 다양한 기하학적 형태의 나무를 통해 감정의 본질을 표현한다. 치유의 힘을 담은 파스텔 색감이 특징이다. 최근 작품에서는 회색 나무로 쳇바퀴 돌듯 무미건조한 현대인의 일상을 표현한다.한아름 작가는 약자와 멸종위기종에 대한 관심을 예술로 승화시킨다. 학부 시절 보육원 봉사에서 만난 작고 연약한 아이들과의 교감이 인간의 욕망으로 희생당하는 ‘언더독’과 멸종위기종에 대한 관심으로 확장됐다. ‘하이드 앤드 식’(Hide and seek)에선 보호종인 귀엽고 사랑 [앵커] 윤석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 게시물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접속자집계

오늘
1,604
어제
2,191
최대
4,214
전체
2,119,124

메일보내기 페이스북 바로가기 인스타그램 바로가기

c.p :82 -10 - 9500 - 2162

Copyright 2018 © kimyoosung.com All rights reserved.